1. Nivo를 선택한 이유 평소에 React나 프론트 개발을 할 일이 많이 없지만, 가끔 모델의 결과를 직관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차트를 사용한다. 원래는 Chartjs 를 사용했지만, 본격적으로 팀이 React로 개발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좀 더 리액트스럽다고 하는 Nivo Chart를 사용해 보았다. Chartjs는 워낙 유명하기 때문에 Examples도 많고, 블로그 글도 많았다. 나는 기본 차트가 아닌 커스텀 차트를 많이 개발했어야 했기 때문에, 유튜브 튜토리얼도 많이 참고했다. 차차 Chartjs 커스텀 차트는 소개하도록 하겠다. Nivo는 유튜브 튜토리얼은 따로 없었지만, 공식 홈페이지에 사용법이 자세하게 적혀 있어서 바로 사용하기 편리했다. 무엇보다 편리했던 점은 하나하나 코드를 적을 필요 없..
나는 Linux 환경에서 conda 환경을 이용하여 코딩을 하기 때문에 conda 환경 관리가 굉장히 중요하다. 하지만 Linux 환경에 따라 자신의 home directory가 용량이 부족할 때가 있다. 하지만 conda 환경은 기본적으로 home directory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만 환경을 설치하다 보면, `conda disk quota exceeded`라는 에러가 뜨기 일수이다. 이때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을 'stack overflow' 와 conda documentation on setting 'pkgs dirs' 를 검색하여 해결하였다. 1. conda pkgs_dirs를 home directory가 아닌 용량이 넉넉한 곳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conda config --add..
개발 블로그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구구절절 이유를 적다보면 좀 더 의지를 다질 수 있을 것 같아 적어본다. 어렸을 때부터 현재까지 SNS를 한번도 제대로 하지 않은 프로 눈팅러로, 공개된 장소에 내 글을 올린다는 부담이 상당하다. 하지만 개발 공부 동안 다른 개발 블로그로부터 도움을 받기도 했고, 따로 노션을 사용해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 있지만, 혼자 본다는 생각에 내가 알 수 있는 용어로만 정리해 나중에 남에게 설명할 때 어려웠던 경험이 있었다. 블로그를 하면서 좀 더 체계적으로 공부한 내용과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힘을 키우고 싶다. 아직까지 속해져 있는 곳이 많아 구체적으로 적을 수는 없지만, 글을 쓰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습하는 차원에서 쓰는 것도 좋아보였다. 짧으면 짧고 길면 길지..